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3

중대재해처벌법 2024 확대 시행과 무료 대응 모바일 서비스 출시 안내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작은 사업장들에게 중요한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최근에 발효된 중대재해처벌법의 확대로 인해, 많은 사업주들이 새로운 안전 관리 규정에 주목하고 계실 텐데요, 이와 관련해 몇 가지 유용한 정보와 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중소 사업장에도 적용되는 중대재해처벌법 2024년 1월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은 5인 이상 사업장에도 적용됩니다. 이는 사업주분들께는 큰 도전일 수 있지만, 동시에 근로자들의 안전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하는 기회이기도 해요. 이 법은 사업장 내 안전과 직원의 건강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며, 위반 시에는 엄격한 처벌이 따릅니다. 안전 관리의 첫걸음, KOSHA Safety 중대재해처벌법에 대응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KOSHA Safety 웹사이트를 활용해보세요... 2024. 1. 30.
SH평가와 ESG 이크레더블 SH 평가는 한국 기업들의 신용 및 재무 상태를 판단하는 데 필수적인 지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에게 특히 중요한 이 평가는 재무 건정성, 시장 내 위치, 경영진의 전문성 등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또한, ESG 평가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되며, 최근에는 대기업들이 하도급 업체 선정 시 SH 평가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안전 및 보건 관리는 SH 평가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로, 특히 모바일과 웹 기반의 안전보건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들이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안전 관리 작업을 현대화하고 효율화하는 데 기여하며, 평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편안50'과 같은 서비스는 기업들이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SH 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얻는 데 .. 2024. 1. 16.
편안50 일일 순찰 기록 서비스, 새해 인사 안녕하십니까 안전관리자 여러분, '편안50 일일 순찰 기록 서비스'를 이용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지난 한 해, 우리는 인공지능과 챗지피티와 같은 첨단 기술의 놀라운 발전을 목격했습니다. 2023년은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우리의 일상과 직업 생활에 혁신을 가져온 해로 기억될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단순히 말을 하면 자동으로 글을 써주고, 문서를 분석하며, 심지어 이미지까지 생성해주는 기술을 손쉽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분명 우리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 것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변화의 속도를 우리가 얼마나 잘 따라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존재합니다. 이미 많은 업종에서는 이러한 기술 변화가 눈에 띄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한 콜센터.. 2024. 1. 2.
중소기업을 위한 무료 안전 순찰 모바일 기록 서비스 사전 예약 안내 중소기업 안전 관리,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중소기업 내에서 안전 순찰 및 안전 관리는 어렵고 복잡한 과제로 여겨집니다. 현장 근로자들의 안전 인식이 낮고 안전 관리에 대한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중소기업에서 안전을 일상적으로 실천하려면 쉽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합니다. 안전 순찰, 아직도 종이로 하고 계신가요? 안전 순찰은 유해한 위험 요소를 발견하고 개선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현재는 종이로 안전 순찰 기록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여러 불편함이 있습니다. 종이로는 사진을 첨부할 수 없어 현장에서 사진을 찍고 나중에 수동으로 문서에 추가해야 합니다. 종이 문서를 인쇄하고 다니는 것도 불편하며, 기록을 효과적으로 정리하거나 유해한 요소들을 추적하기 어렵습니다. 따라.. 2023. 10. 19.
위험성평가 간소화 된 2023년 지침 위험성 평가 지침이 2023년 새로 나왔습니다! 간소화되었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는데요, 조만간 요약해서 다시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ave Time, Save Lives. 시간을 아끼고 생명을 살리자, 세이브티 였습니다. https://savety.kr/%ec%9c%84%ed%97%98%ec%84%b1-%ed%8f%89%ea%b0%80%ec%9d%98-%ec%a0%88%ec%b0%a8-6%eb%8b%a8%ea%b3%84-%ec%9c%84%ed%97%98%ec%84%b1-%ed%8f%89%ea%b0%80-2023-%ea%b0%9c%ec%a0%95-%ec%8b%a0%ea%b7%9c/ 위험성 평가의 절차 6단계 – 위험성 평가 2023 개정 신규 지침 요약(4) - 세이브티 블로그 위험성평가의 절차는.. 2023. 6. 27.
안전 순찰기록 일지 모바일 서비스 안내(demo) 안녕하세요, 안전관리자의 편안하고 효율적인 업무를 위한 편안50입니다. 일일 순찰일지를 많은 안전관리자 분들이 수행하고 계신데요, 이를 모바일을 통해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아래 동영상과 같은 프로그램이 거의 개발 완료되었는데요! 무료로 체험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댓글에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서비스가 완성되면 안내해드리겠습니다. https://youtu.be/bAcqPBxnALs 감사합니다. 2023. 6. 12.
건설업 공정 단계별 안전관리계획 시 참고할 문서 공정 단계 별로 어떤 것들을 참고해서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하는지 정리되어 있습니다. 1. 가설 공사 - 가설 구조물의 설치 개요 및 시공 상세도면 -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 안전점검계획표 및 안전점검표 - 가설물 안전성 계산서 2. 굴착공사 및 발파공사 - 굴착, 흙막이, 발파, 항타 등의 개요 및 시공상세도면 -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지하매설물, 지하수위 변동 및 흐름, 되메우기 다짐 등에 관한 사항을 포함) - 안전점검계획표 및 안전점검표 - 굴착 비탈면, 흙막이 등 안전성 계산서 3. 콘크리트공사 - 거푸집, 동바리, 철근, 콘크리트 등 공사개요 및 시공상세도면 -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 안전점검계획표 및 안전점검표 - 동바리 등 안전성 계산서 4. 강구조물공사 - 자재·장비.. 2023. 5. 1.
안전관리 계획서 제출 대상(건설업) 안전관리 계획서란? 착공 전 건설사업자 등이 시공과정의 위험요소를 발굴하고, 건설현장에 적합한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건설공사 중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 관련 규정: - 건설기술 진흥법 제 62조 -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제 98조, 99조 -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규칙 제 58조 제출 대상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1종시설물 및 2종시설물의 건설공사 - 지하 10m 이상을 굴착하는 건설공사 - 폭발물을 사용하는 건설공사로서 20m 안에 시설물이 있거나 100m안에 사육하는 가축이 있어 영향을 받을 것이 예상되는 건설공사 - 10층 이상 16층 미만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 10층 이상인 건축물의 리모델링 또는 해체공사 - 수직증축형 리모델링 - 천공기.. 2023. 5. 1.
위험성평가의 절차(2) 안녕하세요! 지난 게시글에서 소개한 위험성평가의 절차에 대해서 남은 ~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는 사전준비 → 유해·위험요인 파악 → 위험성 추정 → 위험성 결정 →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의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된다고 소개해드렸습니다. 그럼 이어서 위험성 추정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험성 추정에서 위험성(Risk) = 사고발생의 가능성 사고결과의 중대성으로, (1) 가능성의 추정 - 매우 높음: 일상적으로 장기간 이루어지는 작업에 수반하는 것으로 피하기 어려운 것 - 비교적 높음: 일상적인 작업에 수반하는 것으로 피하기 어려운 것 - 있음: 일상적인 작업에 수반하는 것으로 피할 수 있는 것 - 낮음: 비정상적 작업에 수반하는 것으로 피할 수 있는 것 - 거의 없음: 드물게 이루.. 2023. 4. 24.
위험성평가와 그 절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번에 소개했던 에서 더 나아가 그 절차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란? 유해·위험요인을 사전에 찾아내어 그것이 어느 정도로 위험한지를 추정하고 그 추정한 위험성의 크기에 따라 대책을 세우는 것으로, 사고의 미연 방지가 가장 중요한 포인트이며 실시 목적입니다. 지난 글에서도 이 가 산업체의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중요하다고도 언급을 했었죠? 그렇다면, 이렇게 중요한 의 절차는 어떻게 진행될까요?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위험성평가"란 ①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②해당 유해·위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추정③결정하고 ④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따라서 는 사전.. 2023. 4. 24.
반응형